"내성은 줄이고, 항암효과를 증진시키는 새로운 한약치료제 발굴 필요"
대장암은 우리나라에서 세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네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국민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막대하다. 2015년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대장암 발병률은 세계 1위(10만명당 45명)로 조사되었다.
대장암의 경우 항암화학요법의 발달로 생존기간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가 30개월 이내에 사망에 이르고 있으며 4기 대장암의 5년 생존률은 여전히10%를 하회하는 실정이다.
조기발견으로 근치적 수술을 받는 경우가 증가함에도 대장암의 사망률이 높은 것은 효과적인 항암화학요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며, 그 배경에는 항암화학요법 중 발생하는 항암제내성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존재한다.
Permeability-glycoprotein (Pgp)은 장, 간, 신장세포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efflux transporter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toxin, xenobiotics 등을 세포 밖으로 이행시켜 생리적으로는 몸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해독기능을 수행하나, 암세포에 과발현되어 항암제의 세포내 흡수를 막아 항암제 내성을 일으킨다.
대장암세포는 진단시점부터 Pgp가 높은 농도로 발현되어 있어 대장암은 근본적으로 항암제에 대한 약물내성 문제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통상적으로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는 Pgp의 substrate인 것으로 알려져있어 대장암 항암화학요법 치료시 Pgp를 조절을 통한 항암제 내성의 억제가 중요하다.
지금까지 Pgp가 규명된 이후 Pgp inhibitor가 연구중이지만 자체의 독성과 기질약물에 대한 부적합한 약동학적 변화로 인해서 임상에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어,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 기반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부 한약에서 대장암 실험모델에서 Pgp를 효과적을 억제하여 대장암세포의 항암제 내성을 줄여 항암효과를 증진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한의약은 다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약재들을 조합하여 처방함으로 이러한 복합약리학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효능 및 안정성이 오랜 기간 동안 입증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약물의 창의적인 조합을 통하여 항암제 내성억제, 대장암 발암 및 전이의 다양한 신호전달경로조절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새로운 한약치료제 발굴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